떡, 팔도를 담다 : 고운 맛의 여행
<평안도편 - 노티떡>

노티떡은 평안도 지방의 유명한 향토 떡으로 찹쌀가루를 익반죽한 뒤 엿기름을 넣고 삭혀서 번철에 지져낸 떡이다. 이 지방에서 많이 생산되는 찰기장을 주재료로 하여 만드는데, 찰기장을 3~4시간 물에 불렸다가 가루 내어 엿기름 가루와 섞어 찐다. 쪄낸 떡에 다시 엿기름을 뿌리면서 손으로 주물러 삭힌 다음 기름을 두른 번철에 조금씩 떠 놓고 약한 불로 지져낸다.
별법으로 찹쌀이나 차조를 가루를 내어 엿기름 가루를 섞어 뜨거운 방에서 3~4시간 식힌 뒤, 5cm 정도 크기로 둥글 납작하게 떡을 빚어 기름을 두른 번철에 놓고 노릇노릇하게 지져서 완전히 식힌 후 사기항아리에 설탕이나 꿀을 뿌려 차곡차곡 담는다.
평양 지방에서는 노티떡을 만들어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에게 선물로 보내기도 하고, 유학간 자녀들에게 한 상자씩 만들어 보낼 정도로 귀한 떡으로 여기며, 맛이 좋아 자주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. 또한 저장성이 좋아서 몇 달이 지나도 상하거나 굳지 않아 추석 때쯤 만들어 두었다가 한식 성묘에 사용했다고 한다.
※ 참고문헌 : 윤숙자, 『전통의 맛과 멋 : 한국의 떡 · 한과 · 음청류』